반응형

LAB 11

미국 대학 연구실 지원할 때 교수에게 이메일 보내는 법 (성공률 높이는 팁!)

미국 대학의 연구실(랩, Lab)에 지원할 때 교수에게 직접 이메일을 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첫 단계임.하지만 무작정 이메일을 보내면 답장이 오지 않거나 관심을 끌지 못할 수 있음.이번 글에서는 미국 교수에게 이메일을 보낼 때 성공 확률을 높이는 방법과 필수적인 이메일 작성 팁을 정리해봄!✅ 1. 교수에게 이메일을 보내기 전 확인할 사항이메일을 보내기 전에 교수와 연구실을 철저히 조사해야 함.✔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최근 연구 주제 확인✔ 최근 논문 읽어보기 (Google Scholar, PubMed, ResearchGate 활용)✔ Funding 여부 확인 (교수가 학생을 뽑을 가능성이 높은지)✔ 연구 방향이 내 관심사와 맞는지 체크🎯 **교수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복붙 이메일’**임.👉 교수의..

LAB 2025.03.16

Classifying Cell Types Using scRNA-seq Data 🧬 (Seurat & Scanpy Hands-on Tutorial). scRNA-seq 데이터로 세포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 🧬 (Seurat, Scanpy 실습)

1️⃣ scRNA-seq란 무엇인가?**Single-cell RNA sequencing (scRNA-seq)**는 개별 세포 단위에서 전사체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세포 유형을 분류하고 세포 간 유전자 발현 차이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임.✅ 조직 내 이질적인 세포 집단을 식별하는 데 유용✅ 신경과학, 면역학, 암 연구 등에서 세포 유형별 유전자 발현 패턴 분석 가능✅ 특정 세포 유형의 기능 및 분화 과정 연구에 활용됨2️⃣ scRNA-seq 데이터 분석을 위한 필수 도구🔹 Seurat (R-based) – 가장 널리 사용되는 scRNA-seq 분석 패키지🔹 Scanpy (Python-based) – 빠른 데이터 처리 및 대규모 데이터셋 분석에 강점🔹 CellRanger (10X Genomics)..

LAB 2025.03.12

Organoid Model을 이용한 신경질환 연구 – iPSC 기반 3D Brain Organoid 만들기🧠 🔬 (Using Organoid Models for Neurological Disease Research – Building iPSC-Based 3D Brain Organoids)

1️⃣ Brain Organoid란 무엇인가?Brain Organoid(뇌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iPSC 또는 ESC)를 3D로 배양하여 뇌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는 인공 미니 뇌 모델임.✅ 실제 신경발달 과정을 모방하며 **신경세포(neurons), 아교세포(glial cells), 신경 네트워크(neuronal networks)**까지 형성됨.✅ 2D 신경세포 배양의 한계를 극복하여 뇌질환 연구, 약물 스크리닝, 세포 치료제 개발 등에 활용됨.2️⃣ Brain Organoid를 왜 연구하는가?✅ 퇴행성 뇌질환 연구 🧠알츠하이머병(AD): 아밀로이드 플라크(Aβ)와 타우(Tau) 단백질 응집파킨슨병(PD): 도파민 뉴런 퇴행 & α-synuclein 응집루게릭병(ALS): TDP-43, FUS..

LAB 2025.03.12

Von Frey Test: A Method for Assessing Mechanical Allodynia in Mice (Easy von Frey Calculation)

The Von Frey test is widely used in pain research to evaluate mechanical allodynia, a condition where normally non-painful stimuli cause pain. This method quantifies the paw withdrawal threshold in response to increasing mechanical pressure, providing a reliable measure of sensory changes in neuropathic pain models.✅ Testing Paradigm for MiceThe Von Frey test is conducted using filaments of diff..

LAB 2025.03.10

primary chondrocytes culture(연골 세포 배양)

연골세포를 배양하기 위해선 임신 15일차의 쥐에서 배속에 아기가 필요하다. 위 사진처럼 임신 쥐를 머리를 고정시켜준 후 꼬리를 잡아당겨 경추탈골 시켜준 후 1.배속에 아기들을 꺼내고 하반신을 잘라 준다. 2.잘린 하반신을 PSA(4’c)에 담가 둔다. 아래 그림을 보면 우리가 필요한 뼈는 Tibia, 와 Femur이다. 실제로 잘린 하반신을 현미경으로 보면 이렇다. 100파이 dish에 PSA를 넣어 놓고 현미경으로 보면서 작업을 하면 좋다. 3. 하반신의 Forceps으로 닭다리살을 바르듯이 발라 준다. 생각보다 뼈가 물컹하니 조심해서 발라준다. 뼈가 부러져도 상관없으니 천천히 하면 된다. 어느정도 발라 줬으면 아래 사진처럼 나올 것이다. 우리가 배양하는데 필요한 세포들은 저 빨간색 동그라미에 있다. ..

LAB 2020.03.22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논문 작성법: 어떻게 논문을 작성하는가? 1-1편(초록, Abstract)

필자는 학부과정과 석사과정때 논문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몰라서 많이 헤맨 적이 있었다. 유튜브도 찾아보고 브릭도 찾아보고 하지만 명확한 해답을 찾을 수 없었다. (심지어 교수도 ‘언제 쓰냐?’고 말 만하지 알려주지 않는다.) ​ 그 해답은 수많은 SCI논문을 읽고 나의 논문을 쓰면서 터득하게 되었는데 이 방법을 여기에 정리해 놓겠다. (이 글은 주관적인 생각이니 논문을 쓰는데 참고 정도로만 하면 좋을 것 같다.) 먼저 초록(Abstract) 쓰는 법: 모든 과학논문에는 규칙이 있다. ​ 초록은 짧은 한 단락의 글의 논문의 전체의 내용을 담아야 한다. ​ 쓰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알려진 사실, 문제점. 2. 위의 문제점관련해서 새로 밝힌 것 3.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4. 이 실험이 시사하는 ..

LAB 2020.03.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