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학부과정과 석사과정때 논문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몰라서 많이 헤맨 적이 있었다.
유튜브도 찾아보고 브릭도 찾아보고 하지만 명확한 해답을 찾을 수 없었다.
(심지어 교수도 ‘언제 쓰냐?’고 말 만하지 알려주지 않는다.)
그 해답은 수많은 SCI논문을 읽고 나의 논문을 쓰면서 터득하게 되었는데
이 방법을 여기에 정리해 놓겠다.
(이 글은 주관적인 생각이니 논문을 쓰는데 참고 정도로만 하면 좋을 것 같다.)
먼저 초록(Abstract) 쓰는 법: 모든 과학논문에는 규칙이 있다.
초록은 짧은 한 단락의 글의 논문의 전체의 내용을 담아야 한다.
쓰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알려진 사실, 문제점.
2. 위의 문제점관련해서 새로 밝힌 것
3.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4. 이 실험이 시사하는 바
간단히 예를 들어 보겠다
(1)한진증후군은 신경세포가 노화됨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인데, 한진증후군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혈액뇌장벽(BBB)이 붕괴되고 신경염증이 증가하여 뇌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여기, 한진증후군에서 붕괴될 때 혈액뇌장벽의 혈관내피세포에서 증가하는 JH102이 혈액뇌장벽의 붕괴를 가속화한다는 것을 밝혀 냈으며, 또한 신경염증 후기에 성상세포에서 증가하는 JH102 억제제인 재조합 SUK466을사용함에 따라 한진증후군에서 혈액뇌장벽의 붕괴와 신경염증을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3)우리는 마우스 LPS 복강 주사하여 한진증후군 모델을 만들었으며 재조합 SUK466 복강 주사를 하여 신경 염증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진증후군 환자의 CSF 샘플에서 SUK466의 결핍을 확인하였다. (4)그래서 우리는 한진증후군에서 증가하는 JH102을 밝혀냈으며, 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 단백질 ‘SUK466’를 잠재적인 치료제로 제시한다.
논문 한 편을 쓰기 위해선 본인의 실험과 가장 비슷한 실험을 진행한 논문을 많이 읽어봐야 한다.
어떤 연구원들은 어떻게 접근했으며 어떠한 문장을 썼으며, 나의 논문에 도움이 되는 좋은 아이디어와 문장들이 이미 나온 논문들에 스며 들어있다.
최소한 본인의 실험과 같은 방향성을 가진 논문 5개를 찾아서 어떻게 문장을 표현했는지,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 꼼꼼히 확인한다면, 어떻게 쓰는지 감이 올것이다.
너무 완벽하게 쓰려고 하기보단, 일단은 쓴다는 느낌으로 쓰자
어차피 교수님또는 논문교정을 보내게 되면 수정될 내용은 수정이된다.
1-1편 끝.
더 좋은 생각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면 감사합니다.
'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 Nitrite assay (NO production quantitative analysis) (0) | 2023.08.18 |
---|---|
Active induction of EAE in mice model tutorial (0) | 2023.08.18 |
Tissue IHC, IF protocol Tutorial (0) | 2023.08.18 |
primary chondrocytes culture(연골 세포 배양) (0) | 2020.03.22 |
Primary mixed glia preparation (Mixed glia prep 후 세포배양) (0) | 2020.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