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인간 미세아교세포의 파고좀을 ‘그대로’ 분석하는 법?

Kevin Baek 2025. 5. 2. 06:14
반응형

"Rapid phagosome isolation enables unbiased multiomic analysis of human microglial phagosomes” (Wogram et al., Immunity, 2024)

최근 Immunity에 실린 이 논문은 하나의 질문에서 시작한다.
“Microglia가 시냅스를 삼켰을 때, 그 안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우리는 그동안 microglia가 시냅스나 debris를 phagocytosis 한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삼킨 다음 phagosome 내부가 어떤 구성이고, 무슨 대사가 일어나는지는 직접 들여다보기 어려웠다.
왜냐면… phagosome만 분리해내는 게 너무 어렵기 때문.  

논문 다운로드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074761324003686?via%3Dihub

(배경지식 더보기 클릭)

더보기

1. ✅ Microglia의 Phagocytosis와 Phagosome 형성

내용설명
Microglia 뇌의 면역세포, 손상된 시냅스나 세포 조각을 삼켜서 제거
Phagosome microglia가 이물질을 삼킨 뒤 세포막으로 감싸 만들어지는 소포
후속 경로 phagosome은 lysosome과 융합해 내용물을 분해함
 

🔍 이 논문은 phagosome만 분리해서 그 안의 단백질, 대사체를 분석


2. ✅ CD68: Phagosome 마커 단백질

항목설명
CD68 phagosome, endolysosome, lysosome에 존재하는 막 단백질
사용 이유 phagosome만 선택적으로 **면역정제 (IP)**하기 위해 사용됨
 

💡 논문은 CD68 IP 방식으로 phagosome을 20분 내로 분리


3. ✅ Kynurenine Pathway와 Quinolinic Acid (QA)

항목설명
Tryptophan 대사 염증 반응 시 IDO1/2에 의해 kynurenine → QA로 전환됨
Quinolinic Acid (QA) NMDA 수용체 agonist, neurotoxic하지만 동시에 NAD⁺의 전구체
QPRT QA를 **NA(Nicotinic acid)**로 전환하는 효소 → NAD⁺ 생성 시작점
 

📌 논문은 QA가 phagosome 안에서 QPRT에 의해 NAD⁺로 전환됨을 보여줌


4. ✅ Mass Spectrometry 기반 Proteomics & Metabolomics

기법설명
LC-MS 단백질/대사체를 질량 스펙트럼으로 정량하는 기술
이 논문에선? phagosome 분획에서 단백질 조성QA, NA, NAD⁺ 등 대사체 정량 분석함
 

💡 단백질과 대사체를 compartment 단위로 분석한 다중오믹스 (multi-omics) 연구


5. ✅ Microglia와 Neuron의 상호작용 모델 (co-culture)

항목설명
단독 배양 (monoculture) iMG만 배양 → 비교적 비활성 상태
공동 배양 (co-culture) neuron + iMG 배양 → in vivo-like phenotype 유도됨
이 논문에서는? co-culture 환경에서 microglia의 phagosome 구성 변화유전자 발현 변화(RNA-seq) 분석
 

🔍 Table S4 RNA-seq은 co-culture가 microglia 상태를 어떻게 바꾸는지 보여줌

🧪 그래서 뭘 했나?

이 논문에서는 iPSC 유래 인간 미세아교세포(iMG)에서 **CD68 기반 면역정제법(immunopurification)**을 이용해
20분 안에 phagosome만 골라내는 기술을 만들었다.
게다가 이건 사람 뇌조직에서도 쓸 수 있고, 분리된 phagosome은 단백질, 대사체 모두 분석 가능하다.

즉, “삼킨 걸 바로 까보는” 게 가능해진 셈.


🔍 phagosome 안에서 뭐가 나왔냐면?

  1. 시냅스 단백질 중 presynaptic 관련 단백질만 다수 발견
    → synapse pruning의 specificity 힌트
  2. **Quinolinic acid (QA)**가 파고좀 안에 존재
    → microglia에서만 생성되는 NMDA agonist, neurotoxic
    → 하지만 여기선 NAD⁺ 생합성 전구체로 기능
  3. QA는 QPRT 효소를 통해 **nicotinic acid → NAD⁺**로 전환
    → 파고좀이 단순 분해소기관이 아니라, 대사 활성 compartment라는 주장

🧬 이게 왜 중요하지?

QA는 염증성 환경에서 과도하게 축적되면 신경독성을 유발한다.
그런데 이 논문은 QA가 phagosome 내부에서 대사되는 과정까지도 compartmentalized 되어 있다는 걸 보여줌.

→ 파고좀 안에서도 에너지 회복 경로(NAD⁺ 생합성)가 작동한다는 뜻
microglia가 debris 정리만 하는 게 아니라, 자체 에너지 조절도 한다는 거지

 

아래는 Figure 별로 설명함. 

Figure 1: 파고좀만 쏙 뽑아내는 기술 개발!

🔍 왜 했나?
사람 미세아교세포에서 phagosome compartment만 분리하는 건 너무 어려웠음.
그래서 새로운 분리법이 필요했음.

🧪 뭘 했나?

  • iPSC 유래 microglia(iMG) 만들고
  • CD68을 타겟으로 면역정제(IP)
  • 단백질과 효소 활성(N-acetyl-hexosaminidase) 분석
  • Confocal 이미지로 phagosome 내부 입자 확인

🎯 무슨 의미?
→ 사람 iMG에서도 고순도 phagosome 분리 가능!
→ 기능도 살아있음! (즉, 대사 가능)


Figure 2: 파고좀 안에는 어떤 단백질들이 있을까?

🔍 왜 했나?
분리한 파고좀이 진짜 기능하는 compartment인지 단백질 구성을 확인해야 함

🧪 뭘 했나?

  • LC-MS로 phagosome 단백질 전체 분석
  • volcano plot + GO term 분석
  • 막 단백질 vs 용해성 단백질 분리 (carbonate extraction)

🎯 무슨 의미?
→ phagosome은 lysosome-like 특성이 강함
→ 진짜로 대사 및 분해 중심 compartment임이 입증됨


Figure 3: 환경이 바뀌면 phagosome도 바뀐다!

🔍 왜 했나?
microglia의 **상태(co-culture, LPS 자극 등)**에 따라
phagosome 단백질이 달라질까?

🧪 뭘 했나?

  • 조건: monoculture / co-culture / +LPS-IFNγ
  • LC-MS로 phagosome 단백질 분석 (UpSet, volcano, heatmap)
  • RNA-seq도 병행 (Table S4와 연결)

🎯 무슨 의미?
염증 자극 or neuron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phagosome 단백질이 유연하게 바뀜
단백질 변화 ≠ 유전자 변화 → post-transcriptional 조절도 있음!


Figure 4: 파고좀 안에 대사체도 들어있다고?

🔍 왜 했나?
단백질만 있는 게 아니라 대사체도 담겨 있을까?

🧪 뭘 했나?

  • phagosome에서 대사체 분석 (LC-MS)
  • QA, NA 등 Kynurenine pathway 관련 대사체 검출

🎯 무슨 의미?
→ phagosome은 단백질 분해소일 뿐 아니라
대사 활성 compartment일 수도 있다!


Figure 5: QA → NAD⁺ 대사가 진짜 phagosome 안에서 일어남!

🔍 왜 했나?
QA가 정말 NAD⁺ 생합성으로 이어지는가?
그게 phagosome 내부에서 가능한가?

🧪 뭘 했나?

  • 13C-labeled tryptophan 처리 후 대사 추적
  • phagosome 분획에서 13C-QA, 13C-NA 검출
  • 37℃ 처리 시 QA 감소, NA 증가 → QPRT 작용 입증

🎯 무슨 의미?
phagosome 안에서 QA → NAD⁺ 생합성 경로 작동
→ compartmentalized metabolism 개념 정립!


Figure 6: 이 기술은 실제 사람 뇌조직에서도 된다!

🔍 왜 했나?
iMG 말고 진짜 사람 뇌조직에서도 phagosome 분석이 가능할까?

🧪 뭘 했나?

  • 수술로 얻은 신선한 사람 뇌조직으로부터 CD68+ phagosome 분리
  • EM 이미지에서 gold-labeled LAMP1 확인
  • LC-MS 단백질 분석 → iMG와 비교

🎯 무슨 의미?
진짜 환자 조직에서도 사용 가능한 기술!
→ translational 가능성 있음


Figure 7: 종양환경(TAM)에서도 phagosome 대사체 변화가 일어난다!

🔍 왜 했나?
염증성 환경에서는 phagosome 대사가 어떻게 바뀔까?

🧪 뭘 했나?

  • glioblastoma 조직에서 CD68+ TAM phagosome 분리
  • 대사체 분석 → QA 증가 확인
  • Kynurenine pathway 관련 효소 발현도 변화

🎯 무슨 의미?
→ 질병 환경에서도 phagosome은 독특한 대사 활동을 함
→ QA 축적이 병리적 역할 할 가능성 있음

 

🧠  Discussion 


✅ 1. 기존 한계: 인간 microglial phagosome 연구는 너무 어려웠다

  • 지금까지 **microglia의 식작용(phagocytosis)**은 단순 세포배양(monoculture) 또는 동물 모델에서만 주로 연구됨
  • 하지만 이런 방식은:
    • 실제 사람 뇌와 너무 다름
    • phagosome만을 분리해서 대사까지 분석하기엔 속도와 순도, 해상도 모두 부족
    • 특히 기존 방식(sucrose gradient 등)은 대사체 분석에 부적합

✅ 2. 새로운 방법: 빠르고 순도 높은 phagosome 분리 → 다중 오믹스 분석 가능!

  • CD68 기반 면역정제 방식을 통해
    • iPSC 유래 microglia (iMG)
    • neural co-culture system
    • 실제 사람 뇌조직 모두에서 intact한 phagosome을 분리해냄
  • 이 방법은:
    • 단백질 (proteome)
    • 대사체 (metabolome)
    • RNA 발현 (bulk RNA-seq) 모두 고해상도로 compartment별 분석 가능하게 함

✅ 3. 새로운 발견: phagosome은 대사 중심소기관이다 (특히 QA → NAD⁺ 경로)

  • microglia는 뇌에서 유일하게 **kynurenine pathway를 통해 QA → NAD⁺**를 생성하는 세포
  • 이 논문은 처음으로:
    • QA가 세포 내에서 만들어져서 phagosome 안에 저장되고
    • QPRT에 의해 NAD⁺ 생합성 경로로 대사됨을 입증
  • 이 현상은:
    • **염증 상황 (ex. glioblastoma)**에서 QPRT 발현이 낮을 경우 QA 축적 → 신경독성 증가
    • 반대로 QPRT가 높으면 QA를 면역조절물질 (NA)로 전환, NAD⁺ 생성까지 이어짐

💡 결론: phagosome은 단순한 "청소기"가 아니라 microglia의 대사 조절 허브(hub)

  • 이 compartment는:
    • 시냅스 성분 (특히 presynapse) 선별적 제거
    • QA 대사 및 NAD⁺ 생성
    • 대사적 상태에 따라 microglia의 phenotype까지 조절

⚠️ 한계점도 언급함

한계설명
CD68+ organelle은 꼭 phagosome만은 아님 late endosome, lysosome도 포함 가능
compartment별 구분은 추가 방법 필요 ex. 면역형광공초점, 단일소기관 proteomics 등
glioblastoma 분석은 환자 1명 샘플에 한정 향후 환자 수 확장 필요

 

#미세아교세포 #파고좀 #세포청소 #신경면역반응 #뇌면역세포  
#신경세포청소 #신경독성 #QA산 #나이아신합성 #NAD생성 #단백질분석 #대사체분석 #유전자발현분석 #면역정제 #세포내소기관  #엑소좀아님 #라이소좀비슷 #고속분리기 술 #신경염증 #시냅스정리 #뇌청소세포 #뇌의청소부 #신경퇴행과면역  
#뇌대사 #면역과대사연결 #뇌면역 #세포청소 #파고좀분석 #신경세포와미세아교세포 #뇌연구 #Microglia #Phagosome #Phagocytosis #QuinolinicAcid #KynureninePathway  
#QPRT #NADplus #CompartmentalizedMetabolism #HumaniMG #Multiomic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