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8

인간 미세아교세포의 파고좀을 ‘그대로’ 분석하는 법?

"Rapid phagosome isolation enables unbiased multiomic analysis of human microglial phagosomes” (Wogram et al., Immunity, 2024)최근 Immunity에 실린 이 논문은 하나의 질문에서 시작한다.“Microglia가 시냅스를 삼켰을 때, 그 안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우리는 그동안 microglia가 시냅스나 debris를 phagocytosis 한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삼킨 다음 phagosome 내부가 어떤 구성이고, 무슨 대사가 일어나는지는 직접 들여다보기 어려웠다.왜냐면… phagosome만 분리해내는 게 너무 어렵기 때문. 논문 다운로드 : https://www.sciencedirect...

Study 2025.05.02

노화된 뇌의 림프 순환, 기억력을 되살리다: VEGF-C의 역전극 - Cell 논문 리뷰

Cell 2025년 5월자에 실린“Meningeal lymphatics–microglia axis regulates synaptic physiology”제1저자: 김경덕 박사, 교신저자: Jonathan Kipnis🔎 연구 배경뇌엔 면역세포가 직접 못 들어오는 대신, **수막 림프관(meningeal lymphatic vessel)**이 존재함여기서 뇌척수액(CSF) 속 노폐물을 빼주는 역할을 함이게 막히면 Aβ, tau 같은 병리 단백질이 뇌에 쌓인다는 건 알려져 있음하지만 이게 기억력 저하와 시냅스 손상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는 명확하지 않았음→ 그래서 이번 논문은 수막 림프관이 고장 나면 어떤 세포가 어떻게 시냅스를 망가뜨리는지를 추적함→ 특히 microglia가 매개체일 것이라는 가설 세움 논문 ..

Study 2025.04.23

α-synuclein 응집을 막는 새로운 타깃: USP19 억제의 가능성 (파킨슨병 새로운 치료 타깃 제시)

오늘 소개할 논문은 npj Parkinson’s Disease에 2023년에 실린"USP19 deubiquitinase inactivation regulates α-synuclein ubiquitination and inhibits accumulation of Lewy body-like aggregates in mice" 임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점 죽어가는 질환으로,그 핵심 병리 중 하나가 Lewy body라는 단백질 덩어리임이 Lewy body의 주성분은 α-synuclein이라는 단백질인데문제는 이 단백질이 잘못 접히고, 뭉치고, 옆세포로 퍼지면서신경세포를 망가뜨림연구자들은 이 α-synuclein의 응집과 퍼짐을 막는 방법을 찾기 위해단백질 분해와 관련된 효소인 USP19에 주목했음이 효..

Study 2025.04.22

코에 뿌린 유산균이 뇌까지 간다고? 유산균을 이용한 식욕 억제 호르몬을 뇌에 전달하는 법– Cell 논문 리뷰

오늘은 2025년 Cell에 실린"코에 넣는 유산균으로 뇌에 약물 전달하는 기술"에 관한 논문을 소개함제목은 Engineered commensals for targeted nose-to-brain drug delivery 임🧠 연구 배경뇌에 약물 넣기 힘든 이유는 혈뇌장벽(BBB) 때문임이 장벽 때문에 대부분의 약물이 뇌로 못 감이를 우회하는 방법 중 하나가 **코 속의 후각상피(Olfactory epithelium, OE)**를 이용하는 것임OE는 후각신경을 통해 직접 뇌랑 연결되기 때문에 nose-to-brain delivery 통로로 주목받고 있음근데 OE는 면적도 작고, 약물이 금방 코 뒤로 넘어가버려서 효율이 낮음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OE에 특이적으로 붙는 박테리아를 이용해서그 자리에 계속 머..

Study 2025.04.18

기억은 뉴런만의 것이 아니다. 기억의 조연에서 주연으로 – astrocyte의 역할 재조명 - Nature 논문 리뷰

Nature에 실린 “Learning-associated astrocyte ensembles regulate memory recall” (2025)별아교세포(astrocyte)가 기억 회상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임이제 기억 회상은 뉴런만의 일이 아니라는 아주 신박한 이야기. 권욱봉 박사님이 공동 1저자 이신 논문임. 웃긴건 공동 1저자를 동전 뒤집기로 순서를 정했다는 아주 가슴 아픈 이야기. 논문 다운로드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8170-w 이 논문을 읽고 이해하는데 한참걸림. 신경과학 + 분자생물학 + 행동학 + 유전공학이 한곳에 다들어 가있으니까. 앞선 개념 부터 알고 논문 을 읽으면 괜찮음(?)ㅋㅋ ㅠㅠ 🧠 이 논..

Study 2025.04.17

뇌혈관을 지키는 당막(당질외피), 나이 들면 사라진다 - Nature 논문 리뷰

오늘 소개할 논문은 Nature에 실린 "Glycocalyx dysregulation impairs blood–brain barrier in ageing and disease" 이라는 논문임. 노화와 뇌질환에서 BBB가 무너지는 원인이 단순 염증이나 단백질 이상이 아니라 glycocalyx 구조의 붕괴에 있다는 걸 실험적으로 입증함 논문 다운로드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8589-9 ✅ 알려져 있는 Glycocalyx의 기본 역할 역할설명🔐 물리적 장벽 (Barrier)혈장 단백질, 백혈구, 독성 물질들이 내피세포와 직접 접촉하지 못하게 막아줌🧲 전하 장벽음전하를 띠는 당들이 많아서, 양이온성 분자 접근 차단💧 투과성 조절모세혈관의 투과성..

Study 2025.04.16

뇌는 스스로 면역세포를 관리한다? 뇌실막총의 놀라운 역할 - cell 논문 리뷰

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cell에서 출판한 " The choroid plexus synergizes with immune cells during neuroinflammation" 뇌실막총(Choroid Plexus, CP)은 단순히 뇌척수액을 만드는 기관이 아니라,면역세포를 불러들이고 재프로그래밍하면서 뇌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면역 허브 역할을 한다. 라는 내용의 논문임. 논문 다운로드 :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4)00717-7🔍 배경그동안 CP는 그냥 뇌척수액(CSF) 생성 기관쯤으로 여겨졌음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CP가 면역세포의 통로이자 조절자 역할을 한다고 제시해 왔고이 논문은 그걸 scRNA-seq, 면역염색, 유전자 발현 분석 등으..

Study 2025.04.16

뇌는 어떻게 중요한 장소를 기억할까? CA3의 새로운 학습 메커니즘 (억제세포의 조용한 역할) - Nature 논문 리뷰

오늘 논문은 2025년 Nature에 실린 **"Goal-specific hippocampal inhibition gates learning"**이란 제목의 논문임.1 저자는 정누리 박사님, 교신저자는 Annabelle C. Singer고, Emory University와 Georgia Tech에서 나온 연구야.최근에 나온 아주 따끈따끈한 논문임. 논문 다운로드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8868-5 쉽게 말하면? 🍞 예를 들어보자어떤 쥐가 낯선 미로에 처음 들어갔어.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한 지점에서 음식을 발견했어!그럼 뇌는 어떻게 “다음에도 저기로 가야지”라고 기억할까?이 논문은 바로 그 순간,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밝혀낸 거야.?..

Study 2025.04.15

뇌 속 노폐물, 어디로 빠질까? 코와 뇌를 잇는 림프의 통로, NPLP란? -Nature 논문 리뷰

오늘은 재밌는 네이쳐 논문 가져옴.논문 다운로드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3-06899-4 🧠 논문 읽기:“Nasopharyngeal lymphatic plexus is a hub for cerebrospinal fluid drainage” (Nature, 2024)– 뇌척수액은 어디로 빠져나갈까? 새로운 청소 경로, NPLP의 발견 –🧩 뇌에서 나오는 찌꺼기, 어디로 가는 걸까?우리 뇌에서는 늘 노폐물이 생긴다.대표적으로 아밀로이드 베타(Aβ), 인산화된 타우 단백질(p-tau) 같은 것들.이런 것들이 쌓이면 알츠하이머 같은 뇌질환으로 이어진다.그렇다면 질문 하나:뇌에서 생긴 노폐물은 어디로 빠져나갈까?🔍 기존에 알려진 경로는 이랬다뇌에서 나온 ..

Study 2025.04.13

여성이 알츠하이머에 더 취약한 이유? USP11과 tau 아세틸화의 연결고리 tauopathy는 왜 여성에게 더 치명적인가? - Cell 논문 리뷰

"왜 여성이 알츠하이머에 더 취약할까? 뇌 속 단백질 하나가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만든다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이번 Cell 논문은 tau 단백질에 달라붙었다 떨어지는 아주 작은 단백질 조각 ‘유비퀴틴’이여성 뇌에서는 어떻게 병리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줍니다. 핵심은 X염색체 유전자 USP11입니다." 논문 다운로드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92867422011242?via%3Dihub1.유비퀴틴(Ubiquitin)이란?✅ 한 줄 정의:필요 없는 단백질에 “이거 버려주세요~”라고 표시하는 작은 단백질 꼬리🧬 생화학적으로 보면:76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작은 단백질세포 안에서 **다른 단백질의 lysine(K)**에 공유결합으로 붙음?..

Study 2025.04.12
반응형